1.병인
선천성 기형 | 후천성 기형 |
Apert씨 증후군 Crouzon씨 증후군 Treacher-Collins씨 증후군 Pfeiffer씨 증후군 Goldenhar씨 증후군 Von Recklinghausen 질환 골형성 부전증 Golin씨 증후군 쇄골 안면골 이골증 |
외상 감염 유전 : 과성장, 열성장, 비대칭 성장 술후성 기형 : 악성종양, 양성종양, 골수염 구호흡 |
2.분류
1) 과성장 기형 - 상악 전돌증, 하악 전돌증, 이부 비대증
2) 열성장 기형 - 상악 후퇴증, 하악 후퇴증
3) 비대칭 기형 - 쇄골 안면골 이골증, 제 2악 새궁 증후군
4) 개교증
5) 치열부전
3.치료목적
1) 기능 : 저작문제, 언어문제
2) 심미적 문제
3) 정신적 문제
4.수술시기의 결정
1) 연령 : 치령(치아의 나이), 나이, 생물학적 연령
2) 기형의 종류
3) 정신적 요인 4) 내적 성장 요인
두개안면 구분 : 두개 안면부 수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환자의 연령에 따른 수술시기입니다. 수술시기를 논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치배의 손상을 예방하면서 시술을 성공적으로 하는데 있는데, 두개안면수술시기의 결정은 다음에 설정한 부위에 따라서 그 적응증 즉 수술시기가 좌우됩니다.
환자연령 |
적응증, 수술 |
1세 |
|
1~3세 |
단, 첨, 사 두개증 환자에서 두안면 I 및 II부위 단, 안각 이개증은 제외됨![]() |
4~10세 |
안각이개증을 포함한 두안면 I,II,III부위의 수술전두, 안면부위의 전방이동수술 전두안면부 부분정방이동시술로서 횡상골 절단술 및 전두골 부위에서 태양차단안경양골 절단술
![]() |
10~14세 |
두안면 III 및 IV부위 횡상골절단술 및 수평골 절단술 두안면 V 부위 하악골 전방이동술, 하악이부 성형술 ![]() |
14세 |
두안면 V부위 하악골 후퇴술 |
5.다양한 악교정 수술방법
상 악 골 수 술 |
전상악골 수술 (Le Fort I,II,III 골절단술) |
|
상악골 분절술 (분절 골 절단술) |
|
|
하 악 골 수 술 |
상행지 수술 |
|
하악체 수술 |
|
|
상행지-하악체 연장 수술 |
|
|
이부 성형술 |
이부 절삭술 |
|
평행골 절단술 |
||
사선골 절단술 |
6. 수술후 병발증
치아 : 정방이동, 정출, 압인, 치아우식증
치주 : 염증, 치은퇴축
신경 : 마비, 신경약화
교합부전
불완전 미관개선
턱관절 문제
최적의 교정 실패
술후 감염
재발
* 수술 후 재발 경향을 최소화하는 요인
양 골편 사이의 최대 접촉면
충분한 교정기간
재발요인의 제거(근육, 인대)
골편의 안정, 악간고정
과두와 하악지의 축변화를 없게 한다.
7. 수술방법
1. 구외 접근법
1) 적응증
하악을 후퇴시킬 양이 15mm보다 클 때
입이 매우 작고 비탄력적일 때
2) 수술방법
역 "L"자 골절단술
수직 과두경부 골절단술
2. 구내 접근법
1) 구내 수술조작의 장점
안면 반흔 조직이 없다
신경손상이 적고 일시적이다.
2) 수술방법
하악체 골절단술
적응증
- 하악 전돌 교정량이 적을 때 : 한 치아폭보다 작을 때
- 환전정 절개가 사용됨, 설측점막, 골막 부착이 최대이다.
- 계획된 골 절제술에 반하여 단지 치조수준에서만 설측 조직이 박리된다.
골절개의 설계
- Y 골절단술, 계단골 절단술, 역 "V"자 골절단술
- 하악전치 분절골 절단술
구내 수직 하악지 골절단술
적응증
- 적절한 하악 치궁을 후퇴시켜서 좋은 안모와 치궁치아관계를 얻을 수 있다
하악시상지 분할 골절단술
적응증
- 수직, 전후 변화가 고려될 때
수술방법
1. 절개, 박리할 부위에 국소마취제를 침윤
2. 점막 절개는 하악구치부의 부착치은의 5mm협측에 가한다.
3. 점막, 골막 피판을 협측으로 젖힌다.
4. 하악골 기자로 익돌 교근막을 박리한다.
5. 채널 견인자를 적용시킨다.
6. 점막, 고락 피판을 내측으로 젖힌다.
7. 하치조신경, 혈관을 보호하기 위해 채널견인자를 적용한다.
8. Vulcanite bur로 수평골 절단을 시행한다.
9. 외과용 톱으로 시상, 수직골절개를 시행한다.
10. 근심골편의 계획된 피질골을 절제한다.
11. 절골도와 수술용 망치로 시상분할한다.
12. 반대측도 같은 단계로 반복한다.
13. 원심골편을 완전히 움직일 수 있게 분리한다.
14. 제작된 부목을 사용하여 계획된 교합으로 원심골편을 위치시킨다.
15. 약간 고정
16. 상연을 철사로 고정한다.
17. 근심골편의 상행지 부위의 과잉골을 Vulcanite bur로 절삭한다.
18. 협부에 절개를 가한다.
19. 협부를 통과하여 3개의 나사를 삽입한다.
20. hemo-vac을 적용한다.
21. 점각 봉합을 시행한다.
*두개악안면 기형
두개악안면기형(Aperts Crouzons, Treacher-Collins, Plagiocephaly, Trigonocephaly, Orbital Hypertelorism, Hydrocephalus, etc.)을 위해서는 두개악안면수술법을 이용한 두개와 눈주위 구조를 변형시키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안면열, 구순구개열, 반안면왜소증, 하악이소증, 귀의 기형(소이증)등은 안면의 중하방에 걸친 치료가 필요합니다.
*구순구개열

구순구개열은 팀구성(악안면외과의, 교정과의사, 언어치료사, 소아과의사등)의 치료접근과 적절한 시간의 단게적 수술이 요구됩니다. 초기 치료는 구순구개열의 연조직 부분의 초기 봉합으로 시작되며 완전 구개열의 경우 즉시 구개폐쇄장치를 제작하여 구개열부위를 좁혀주고 치조궁의 배열을 가지런히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대개 연구개의 봉합은 여러 학자 및 클리닉마다 다르긴 하다 8~10개월가량에 시행되고 전방 구개는 약 2세경에 폐쇄하게 됩니다.
